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9

[데이터베이스] Primary Key(기본키), Candidate key (후보키), Alternative key (대체키), Foreign key (외래키), Super Key(슈퍼키)란? Relation(= table) 이란? 릴레이션(Relation)은 데이터들의 표(Table)의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relation과 table이란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Relation 특징 한 릴레이션에는 똑같은 튜플이 포함될 수 없음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음 튜플들의 삽입, 삭제 등의 작업으로 인해 릴레이션은 시간에 따라 변함 릴레이션 스키마를 구성하는 속성들 간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음 속성의 유일한 식별을 위해 속성의 명칭은 유일해야 함. 하지만 속성을 구성하는 값은 동일한 값이 있을 수 있음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속성들의 부분집.. 2023. 6. 21.
React 개발에 Node.js가 필요한 이유 React를 사용하기 위해 Node.js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 Node.js가 React를 사용하기 더 쉽게 해주는 도구들을 내장하고 있는 오픈소스이자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이기 때문이다. ​ Node.js.를 설치하는 경우 NPM(Node Package Manager)이 같이 설치되는데 이 NPM이란 것을 통해 React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들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 NPM은 Node.j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듈들을 패키지화하여 모아둔 저장소 역할을 하며 설치/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CLI를 제공한다. ​ React개발자들은 다른 개발자들이 구현해 높은 간편하고 필요한 모듈 및 라이브러리들을 다운 받기 위해 node.js를 설치해서 사용한다. ​ node.js를 통해 npm을.. 2023. 6. 15.
[React Native] 레이아웃 스타일링 View 크기(범위)를 결정하는 속성. flex와 width, height으로 나눌 수 있다. flex 크기를 비율로 설정 export defaul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backgroundColor: 'white', }, case1: { flex: 1, backgroundColor: 'red', }, case2: { flex: 3, backgroundColor: 'green', }, case3: { flex: 1, backgroundColor: 'blue', }, }); width, height 숫자를 넣으면 고정 크기, .. 2023. 6. 15.
[React Native] 컴포넌트 스타일링 CSS import “./style.css”;를 작성하여 불러오는 간단한 방식으로, css를 이용하여 스타일링하는 방법이다. CSS로 스타일링을 하면 코드가 길어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럴 땐 SASS 또는 SCSS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Sass(syntactically awesome stylesheet) 자주 사용하는 css 전처리기 중 하나이다. css3의 확장으로 Dart기반으로 작동하며, 더 쉽게 작성하게 해주는 방식이다. 스타일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여주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므로 유지보수에 도움이 된다. 확장자는 .scss와 .sass 두가지를 지원한다. .sass Import하기 위해서 node-sass를 설치한다. $ yarn add node-sass //utils.scss @impo.. 2023. 6. 15.
728x90
반응형